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완주군 버스

덤프버전 : (♥ 0)

||



1. 개요
2. 요금
3. 전주시 운행(면허) 노선
3.1. 간선버스
3.2. 봉동, 삼례 지선버스
3.3. 전주 버스 300(전주순환) / 고산 이북
4. 완주군 직영
4.1. 마을버스
5. 특징
6. 둘러보기


1. 개요[편집]




2. 요금[편집]


  • 전주시 버스 요금과 동일하다. 환승 할인은 전주시와 완주군에서 교통카드로 버스요금을 결제하고 내릴 때 동일 카드를 하차 단말기에 태그하면, 40분 이내에 1회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.
  • 완주군 마을버스에서 환승시 전주시 마을버스와 마찬가지로 마을버스→시내버스→시내버스, 혹은 그 반대로 2회 환승 가능하며, 마을버스에서 시내버스로 환승 시 차액 950원이 부과된다. 또한 시내버스에서 마을버스로 환승시에는 하차태그 후 90분 이내에 환승이 적용된다.
2021년 7월 1일 기준
구분일반청소년초등학생
카드현금카드현금카드현금
전주버스 / 완주 고산이북 마을버스 300번1,4501,5001,1501,200700750
완주군 마을버스 / 전주시 마을버스500[1]


3. 전주시 운행(면허) 노선[편집]


파일:전주시 CI.svg 전주 - 타 시 · 군 간 버스
[ 펼치기 · 접기 ]

완주군
삼례
1001, 1002
봉동, 용진, 고산, 비봉
상관, 관촌, 소양, 구이
이서
74, 75[혁신]
110[*혁신 ]
200[*혁신 ]
220[*혁신 ]
익산시
김제시
임실군
진안군
순창군202

[혁신] 혁신도시 지역(갈산리)만 경유


||
{{{#!wiki style="color:#e96a2b; margin:-0px -10px"
[ 시내버스 - 펼치기 · 접기 ]

간선노선
순환노선
삼례지선
용진지선
시내노선
이서
혁신도시
만성동
삼례
여의동
상하보
봉동, 용진
고산, 비봉
금산사
중인동
금구
상관, 관촌
소양, 구이
명품노선
한정노선
}}}

#!wiki style="color:#dd0026; margin:-0px -10px"
[ 마을버스 - 펼치기 · 접기 ]

남부평화동
서학동
삼천동, 흑석골
북서부조촌동, 여의동
혁신동, 혁신도시
백구, 용지, 춘강
북부송천동, 호성동
동부인후동, 우아동, 소양

#!wiki style="margin: -6px"
{{{-2 {{{#fff 완주군의 버스 노선은 '''[[틀:완주군 버스|{{{#fff 틀:완주군 버스}}}]]''' 참고.}}}}}}




3.1. 간선버스[편집]



3.2. 봉동, 삼례 지선버스[편집]


파일:전주시 CI.svg 전주 버스 봉동, 삼례지선 30번대[참고]
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운영회사
30삼례터미널삼례터미널 ↔ 삼례대영A ↔ 삼례동원A ↔ 삼례중 ↔ 석전리 ↔ 청완초교 ↔ 중앙공원 ↔ 현대자동차 ↔ 뷰텍 ↔ 봉서초교코아루2차A120분전일여객
31삼례터미널삼례터미널 ↔ 서여 ↔ 삼례주공A ↔ 삼례중 ↔ (농원) ↔ 월산리 ↔ (→ 학동마을 → 정산마을 →/← 원석전 ← 신정리 ← 청등마을 ←)원구암35~85분전일여객
32삼례터미널삼례터미널 ↔ 삼례대영A ↔ 삼례동원A ↔ 청완초교 ↔ 중앙공원 ↔ 둔산코아루2차A ↔ 제네리 ↔ 새터 ↔ 백제대비봉120분전일여객
33삼례터미널삼례터미널 ↔ 삼례대영A ↔ 삼례동원A ↔ 와리 ↔ 신서마을 ↔ 고천마을 ↔ 신덕마을 ↔ 신상마을 ↔ 완주경찰서 ↔ 봉동터미널 ↔ 완주중봉동주공A120분호남고속
34삼례터미널삼례터미널 ↔ 삼례대영A ↔ 삼례동원A ↔ 청완초교 ↔ 하구미리 ↔ 상구미리 ↔ 완주중 ↔ 봉동터미널[7]봉동주공A60분호남고속
34-1삼례터미널해전 ↔ 삼례역 ↔ 삼례터미널 ↔ 삼례대영A ↔ 삼례동원A ↔ 청완초교 ↔ 하구미리 ↔ 상구미리 ↔ 완주중 ↔ 봉동터미널봉동주공A60분호남고속
35삼례터미널삼례터미널 ↔ 삼례대영A ↔ 삼례동원A ↔ 삼례중 ↔ 청완초교 ↔ 하구미리 ↔ 상구미리 ↔ 완주중 ↔ 봉동터미널 ↔ 완주경찰서 ↔ 용진대영A ↔ 율소리 ↔ 어우리 ↔ 고산고고산터미널120분시민여객
36삼례터미널삼례터미널 ↔ 삼례대영A ↔ 삼례동원A ↔ 삼례중 ↔ 청완초교 ↔ 하구미리 ↔ 상구미리 ↔ 완주중 ↔ 봉동터미널 ↔ 봉동주공A ↔ 마그네다리 ↔ 용진대영A ↔ 율소리 ↔ 어우리 ↔ 고산고고산터미널120분시민여객

3.3. 전주 버스 300(전주순환) / 고산 이북[편집]


파일:전주시 CI.svg 전주 버스 300(전주순환)[참고]
번호기점주요 경유지종점배차간격운행회사
300고산터미널어우리/남봉[8]ㆍ봉동/용진원주아파트ㆍ용진ㆍ전주동중ㆍ모래내시장ㆍ금암광장•전주역•용진•봉동/남봉고산터미널1일 2회시민여객

고산터미널을 기점으로 전주순환, 고산면 이북 지역(고산면, 비봉면, 경천면, 화산면, 동상면, 운주면)을 운행하는 노선이다. 자세한건 전주 버스 300 문서참조.


4. 완주군 직영[편집]



4.1. 마을버스[편집]


파일:완주군 CI.svg 완주군 마을버스 부름부릉
번호기점환승거점종점운영회사
이서20원마다리, 산정리이서이서회차지완주군
이서21모산, 용지[9]이서이서회차지완주군
이서22[10]원동마을이서이서회차지완주군
이서23[* 하루 3번 22번 노선으로 운행한다.]대농이서이서회차지완주군
이서24구암마을이서이서회차지완주군
이서25대문안, 신정[11]이서이서회차지완주군
이서26앵곡(콩쥐팥쥐마을)이서이서회차지완주군
이서27이서회차지이서삼례역완주군
소양50소양완주군청봉동주공완주군
상관70민목리상관주민센터상관완주군
상관77정수리상관주민센터상관완주군
소양82상망표소양앞멀완주군
소양83거인소양소양행정복지센터.상리완주군
소양84인덕소양일임완주군
소양85용문사소양응암완주군
소양86월상소양분토완주군
소양87다리목소양약암완주군
구이90원안석.탑선구이중도립미술관완주군
구이91하운암.원백여구이중도립미술관완주군
구이92하운암.대모구이중도립미술관완주군

마을버스의 애칭은 부름부릉 마을버스이다.


5. 특징[편집]






6. 둘러보기[편집]


군 단위 환승할인 가능 지역
[ 펼치기 · 접기 ]

파일:인천광역시 휘장.svg 인천광역시1강화군내버스, 영흥면공영버스
파일:경기도 휘장.svg 경기도1가평군, 양평군, 연천군
파일:강원특별자치도 휘장.svg 강원특별자치도고성군, 영월군2, 인제군, 정선군, 철원군
평창군, 화천군, 홍천군, 횡성군
파일:충청남도 휘장.svg 충청남도부여군, 서천군, 청양군, 예산군3, 홍성군3
파일:전라북도 휘장.svg 전라북도완주군4
파일:전라남도 휘장.svg 전라남도담양군5, 무안군6, 보성군7, 장성군5, 함평군5, 화순군5
파일:경상북도 휘장.svg 경상북도예천군8, 의성군, 칠곡군9
파일:경상남도 휘장.svg 경상남도함안군10
1: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 실시 지역
2: 원주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. 단, 영월군 행복버스 광역 환승시에만 적용.
3: 예산-홍성 광역환승 실시 지역
4: 전주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
5: 광주광역시 시내버스, 광주 도시철도와 광역환승시 한정
6: 목포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
7: 순천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
8: 안동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
9: 김천-구미-칠곡 광역환승할인 실시 지역, 추후 대구권 광역환승할인 시행 예정
10: 창원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

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10 16:42:18에 나무위키 완주군 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간선노선으로 환승 시 950원 부과[2] 30, 31, 32, 33, 34, 35, 36[3] 54, 55, 56, 57, 58[4] 309, 337, 350, 354, 355, 383, 385, 386[5] 508, 511, 513, 514, 515, 520, 521, 522, 535, 536, 541, 542, 543, 545, 546, 554, 559[6] 이중에서 30, 50, 500번대가 완주군 마을버스로 변경된다고 한다.[참고] A B 완주군 지역을 운행하나 엄연히 전주시장이 인가를 가진 노선이다.[7] 구만리 - 완주군청[8] 아침 07:20 차량만 경유[9] 하루 2번 연장운행[10] 하루 3번 23번 노선으로 운행한다.[11] 하루 4번[12] 전주시 시내버스 개편일자에 맞춰서 진행하는것 같다.[13] 이로 인해, 간선노선들이 완주군 외곽까지 가게 되어서 전주시 시내버스의 배차간격을 늘리는데 큰 역할을 했다.[14] 여기서 말하는 간선 노선은 전주 버스 지간선제 시행 이후 개설된 4자릿수 간선 노선이 아닌 50번대, 500번대 등 일반 시내버스 노선들을 뜻한다.